티스토리 뷰

반응형

 

 

자녀출산을 앞두고 있는 예비 엄마, 아빠라면 모두 곧 하시게 될 출생신고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한국은 아기 출생일로부터 1개월 이내 출생신고를 하게끔 법제화 하고 있습니다. 신고기한 지연시 과태료가 부과되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꼭 기간 내에 출생신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출생신고 하는 방법과 유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생신고 하는 방법

 

 

▶ 출생신고 방법 두 가지 : 온라인 or 동사무소 방문

온라인으로 한다면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편리하지만 출산 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놓칠 수 있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반대로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출생신고를 하게 되면 복지 부서와 연결되어 출산 후 받을 수 있는 아동수당, 부모지원금, 출산지원금 등 다양한 혜택들을 누락없이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지만 주소지 동사무소를 방문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대기시간 등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방문신청

출생신고를 하러 가기 전에 아기의 이름과 한자이름을 정해서 방문해야 하며 출생신고서에 본적과 등록기준지 등을 쓰는 란이 있는데 이는 동사무소에서 가족관계증명서를 바로 뽑아 확인해도 되지만 방문전에 미리 온라인으로 가족관계증명서를 열람한 후 메모해 가면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출생신고서 서식
출생신고서 서식

구비서류

•출생증명서 원본

•신고인 신분증

•부 또는 모의 통장사본(수당신청을 위해서)

 

신고인

신고의무자 : 부 또는 모(혼인외의 출생자의 경우 모)

신고의무자가 부득이하게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

- 동거하는 친족

- 분만에 관여한 의사, 조산사 또는 그 밖의 사람

 

신고기간

출생일로부터 1개월 이내

신고기한 지연시 과태료 부과

단, 혼인외 출생자의 경우 '모'가 신고의무자이므로 ’가 지연 신고시 과태료 미부과

 

 

▶ 온라인 신청

온라인 신청은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https://efamily.scourt.go.kr/)에서 가능합니다. 단, 출산 의료기관이 시스템에 등록 된 의료기관이인 경우에만 가능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신고인

신고의무자 : 부 또는 모(혼인외의 출생자의 경우 모)

•신고의무자 외

 - 부 또는 모의 친권자

 - 부 또는 모의 후견인

 

출생신고서 입력 및 출생증명서 첨부

 

 

▶이혼 후 출생신고 유의사항

출생신고시 반드시 '모'의 전혼 관계를 확인하는데 이혼한 후 재혼했지만 일정 기간이 넘지 않았는데 출생신고를 하는 경우 전남편의 자로 추정되기도 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출생증명서가 없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의 출생확인을 받아 그 확인서 등본을 첨부

생자의 이름 : 반드시 인명용 한자의 범위내의 것으로 5자를 초과할 수 없음

모가 이혼후 300일 이내에 출생한자는 전남편의 자로 등재

- 추후 법원의 친생관계부존재 판결을 받아 친부의 자로 등재

- 출생신고시 친생부인의소 판결문 및 확정증명원이 첨부된 경우에는 곧바로 친부의 자로 등재가능

모가 이혼 후 300일이내, 재혼  200일 이후에 출생한자는 '부 미정' 으로 출생신고 가능

- 추후 를 정하는 법원 판결 후 추후보완 신고

•모가 이혼 후 재혼하지 않은 경우는 전혼 남편의 자로 추정한다.

 

 

아이의 성도 예전과 다르게 모의 성을 따를 수 있지만 앞으로 모든 자녀는 '모'의 성을 따라야 하므로 가족 간 충분히 대화한 후 정해야 합니다. 또한 이름과 한자를 잘 못 적는 경우도 간혹 있는데, 우리 아기를 사회에 일원으로 인정받는 첫 번째 발걸음을 신중하게 내딛으시기를 바랍니다.

 

 

2023년 출산혜택 총정리

현재 한국 출산율은 가임여성 1명당 0.8명으로 매년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국가와 지자체에서는 낮은 출생률을 극복하기 위해서 앞다퉈 임신, 출산에 대한 정책을 수시로 내놓고 있는데요.

all-minwon.com

 

 

728x90
반응형